프리랜서개발자 2

자주 사용하는 개인사업자 업종코드 정리 feat. 개발자

앞으로 정확히 어떤 부업을 집중할지 정하지는 않았으나, 미리 찾아보면 좋을 것 같아서 한 번 정리해봤다.참고로 모든 업종 코드를 다 넣을 필요는 없고, 상황에 맞춰서 꽂아넣기 하면 된다. 나 같은 경우를 예를 들면, 현재 개발 멘토 + 애드센스 수익 + 종종 프로그램 외주/개발을 주력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940909(소프트웨어프리랜서 - 멘토, 개발 외주) + 940306(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 - 애드센스)를 선택하였다. 괜히 업무에 딱 맞춰서 업태 이것저것 골라 넣었다가매출이 8천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돌아가 세금폭탄 맞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꼭 잘 알아보고 선택하도록 하자!!프리랜서 개발자면세사업자: 부가가치세 면제 - 사업장현황신고는 해야함(참고) 업종코드가 7로 시작하는 ..

개인사업자 2025.02.01

온라인으로 개인 사업자 등록하기 feat. 프리랜서 개발자

비록 2N살이나 총 부업 경력은 7년, 개발 부업 경력이 3년차인 나름 고인물(?)인 사람으로내가 과연 사회생활에 있어서 가치있는 사람인지 전혀 감이 안와 사업자등록을 할지 항상 고민하고 있었지만 연 4800만원 매출이 나오지는 않지만 찐 무자본으로 시작한 것 치고는 수완이 꽤 괜찮다는 생각이 들고무엇보다 일이 꾸준히 들어오길래 전문적으로 크게 키우고 싶어서 사업자를 등록하기로 결심했다. ⬇️ 개인사업자 신청방법은 2번으로 바로 넘어가주세요 ⬇️ 1. (등록하기 전에) 개인사업자 vs 법인사업자 vs 프리랜서​프리랜서개인사업자법인사업자소득세근로소득세 또는 종합소득세​소득세율: 6~45% (보통은 8.8% 떼어감)종합소득세​소득세율: 6~45%법인세​소득세율: 10억원 이하의 과세표준에 대해 10%, 그 ..

개인사업자 2025.01.31